Life EduRoad USA
A Korean's guide to American life, education, and travel.

한국 방문 외국인을 위한 교통카드 안내: T-money & WOWPASS 사용법 (2025)

한국 방문자 2025 교통카드 가이드. 티머니·WOWPASS 차이, 공항 구매, 역·편의점 충전·환불, Android·iPhone 모바일 사용법과 환승·택시 결제 팁까지.

한국 방문 외국인을 위한 교통카드 안내: T-money & WOWPASS 사용법

한국 대중교통은 교통카드 한 장이면 지하철·버스·택시·편의점까지 결제가 됩니다. 가장 널리 쓰는 T-money(티머니)와, 외국인 친화 선불 결제카드 WOWPASS가 대표적이에요. 특히 2025년 7월부터는 iPhone·Apple Watch에서도 티머니Apple 지갑(Express Mode)으로 쓸 수 있게 되어 선택지가 크게 넓어졌습니다. 이 글에서는 구매·충전·환불부터 Android·iOS 모바일 사용법, WOWPASS 연동, 자주 묻는 질문까지 2025 최신 기준으로 꼼꼼히 정리했습니다.

T-money 카드 소개 및 장점

왜 티머니일까요? 한국의 대부분 도시에서 티머니는 지하철·버스·택시 기본 결제 수단입니다. 또한 편의점·자판기·일부 매장의 소액결제에도 사용할 수 있어요. 선불 충전형이라 분실 시 피해가 제한적이고, 환승 할인이 자동 적용되는 점도 장점입니다.

  • 호환 범위: 수도권·광역시 지하철/버스, 다수 택시, 주요 편의점에서 사용 가능.
  • 환승 할인: 버스 하차 태그까지 정확히 하면 기본요금 중복 없이 거리요금만 추가되는 구조(도시·노선별 예외 존재).
  • 디자인: 캐릭터·기념 에디션 등 다양한 실물 카드가 있어 기념품으로도 인기.

쉽게 말하면, “공항에서 카드 사서 충전 → 바로 탑승” 루틴이면 교통 스트레스가 크게 줄어듭니다.

T-money 카드 구매처 및 가격

어디서 사나요? 인천국제공항·김포공항CU·GS25·7-ELEVEN, 지하철 역사 판매기, 일부 관광안내소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어요.

  • 카드 가격: 약 2,500원~4,000원(카드 값만, 충전금 제외). 디자인·판매처에 따라 다릅니다.
  • 결제수단: 공항·편의점은 카드/현금 모두 가능한 곳이 많으나 매장 정책이 다를 수 있습니다.
  • 참고: 서울관광공사 교통 안내에서 1회용 보증금·환불, 기본 이용 개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T-money 카드 충전 방법

충전은 3가지가 가장 간단합니다. 역 기계·편의점·모바일(단말/앱)입니다.

  • 지하철역: 충전기·무인 발매기에서 다국어 메뉴 지원. 카드 올리고 금액 선택 → 현금 투입/카드 결제.
  • 편의점: 카운터에 카드와 금액만 전달하면 바로 충전됩니다.
  • 모바일: Android는 모바일 티머니/코리아투어카드 앱, iOS는 Apple 지갑·모바일 티머니 iOS(아래 섹션)로 이용.

충전 단위/한도: 보통 1,000원 단위로 1,000~90,000원/회 충전 가능, 카드 잔액 총한도는 최대 500,000원. 충전 수수료는 일반적으로 없고, 환불 시에만 소액 수수료가 붙습니다(아래 FAQ).

모바일 T-money 사용법 (Android & iOS 2025 업데이트)

2025 핵심 변화: 기존엔 Android 전용 이미지가 강했지만, 2025년 7월부터 iPhone·Apple Watch에서도 티머니를 Apple 지갑에 추가해 쓸 수 있습니다. Express Mode로 전원·잠금 해제 없이 탭 결제가 가능해 승하차가 매우 빨라졌습니다. (공식: Apple Newsroom·Apple Pay 교통카드 페이지)

구분 Android (모바일 티머니/코리아투어카드 앱) iOS (Apple 지갑·모바일 티머니 iOS)
설치 Google Play에서 앱 설치 → NFC 활성화 지갑 앱 → +교통카드T-money 추가(Express Mode 지원)
충전 앱 내 해외 신용/체크카드 결제 지원(브랜드별 가능), 역/편의점 현금충전 병행 지갑·iOS 앱에서 충전 가능. 단, 지갑에서의 직접 충전은 한국 발급 카드 중심 지원로 알려져 여행자는 편의점 현금충전 또는 모바일 티머니 iOS 앱 병행을 권장
장점 앱에서 잔액/내역 확인, 계정 연동으로 분실 시 보호 실물 카드 없이 iPhone/Watch로 바로 탑승, 자동충전 설정 가능
주의 NFC 미지원/루팅 단말 제한 초기 단계에서 해외 카드 충전 제한·지역/교통수단별 예외가 보고됨(정책 변동 가능)

빠른 설정 가이드(iOS): 지갑 앱 → + → 교통카드 → T-money 추가 → 충전(가능 카드/방식 확인) → Express Mode ON.
Android: 모바일 티머니/코리아투어카드 앱 설치 → 계정 등록 → 카드 발급·충전 → NFC 태그로 탑승.

iOS 사용자를 위한 WOWPASS 카드 안내

WOWPASS선불 결제T-money 교통카드가 합쳐진 외국인 친화 카드입니다. 앱에서 실시간 환율로 외화를 충전하면 원화로 결제되고, 통합 카드 한 장으로 대중교통까지 해결됩니다. iPhone에서도 전용 앱으로 잔액·충전을 관리할 수 있어요.

  • 결제 범위: 식당·카페·쇼핑·택시·키오스크 등 다수 가맹점(IC 삽입/터치)에서 사용.
  • 티머니 내장: WOWPASS의 T-money 잔액은 결제 잔액과 별개이므로 교통 이용 전 티머니 잔액을 따로 충전해야 합니다.
  • 앱 연동: Android·iOS 모두 지원, 카드 스캔으로 티머니 잔액을 WOWPASS 잔액에서 즉시 이체 가능.

WOWPASS 카드 구입처 및 앱 연동

공항부터 발급이 가능합니다. 인천·김포공항 키오스크 및 서울 시내 관광지 부스에서 즉시 수령하고, 공식 웹사이트 예약현장 픽업도 가능해요.

  • 발급 절차: 키오스크에서 여권 스캔 → 발급 → 앱 연동 → 충전.
  • 티머니 충전: 앱에서 WOWPASS 잔액 → T-money 잔액으로 즉시 전환하여 충전(현금 불필요).
  • 주의: 수수료·환율 스프레드를 확인하고, 카드 분실 시 즉시 앱에서 정지하세요.

자주 묻는 질문(FAQ)

Q1. 모바일 티머니는 어떤 조건이 필요한가요?
Android는 NFC 지원 단말과 앱 설치로 사용합니다. iOS는 2025.07부터 Apple 지갑에 티머니 추가가 가능해졌고, Express Mode로 잠금 없이 탑승이 됩니다. 다만 지갑 내 직접 충전은 한국 발급 카드 중심이라 여행자는 편의점 현금충전 또는 모바일 티머니 iOS 앱을 병행하는 것이 안전합니다.

Q2. T-money 잔액 환불과 수수료는 어떻게 되나요?
잔액 2만 원 이하는 편의점 등에서 현금 환불 가능하고 수수료 500원이 공제됩니다. 그 이상은 역 고객센터·티머니 센터를 이용하세요. (점포별 한도·정책 상이)

Q3. T-money로 택시 결제가 가능한가요?
대부분의 일반 택시에서 가능하지만 일부 지역·법인에서는 예외가 있을 수 있습니다. 승차 시 티머니 결제 가능을 먼저 확인하세요.

Q4. SIM 카드 없이도 모바일 티머니가 작동하나요?
Android의 계정형 서비스는 외국 USIM 제약을 줄인 형태가 제공됩니다. 다만 단말·OS·앱 버전에 따라 일부 기능 제한이 있을 수 있어요. iOS는 Apple 지갑 기반이라 SIM과 무관하게 작동하되, 충전·인증 요건은 정책을 확인하세요.

Q5. WOWPASS와 T-money 중 어떤 게 더 유리할까요?
iPhone 사용자이면서 결제·환전을 한 장으로 관리하고 싶다면 WOWPASS가 편합니다. Android 사용자는 모바일 티머니만으로도 충분히 편리합니다. 둘 다 공항에서 바로 이용 가능해요.

요약 및 활용 팁

  • 즉시 시작: 공항 편의점에서 티머니 실물카드 구매 후 충전 → 바로 탑승.
  • 모바일: Android는 모바일 티머니, iOS는 Apple 지갑 티머니 활용. 지갑 충전은 한국 카드 중심이니 필요 시 편의점/역 충전·WOWPASS 병행.
  • 환불: 2만원 이하 환불·수수료 500원 기억(점포별 정책 상이).
  • WOWPASS: 티머니 잔액은 따로 충전해야 하며, 앱에서 잔액 이체로 즉시 충전 가능.
  • 문제 해결: 인식 불량 시 카드를 리더기에 1~2초 더 밀착, 모바일은 NFC·Express Mode 상태 점검.

함께 보기: 티머니 환불 수수료·한도·절차 총정리, 서울 지하철·버스 환승 가이드(색상·노선 이해), 인천공항↔도심 이동 완전 정리(AREX·버스·택시)

Sources